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튜토리얼

 Tutorial 1
(스마트 자동차의 레이더 타겟탐지 및 센서융합 기술)

현유진 박사
    (DGIST)     
                    
제목: 자율주행 자동차의 레이더 객체인지 기술 및 센서융합에 대한 고찰
요약: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는 자동차 산업의 뜨거운 화두이다. 이러한 자율주행 자동차를 완성하기 위한 핵심기술 중 하나는 주행환경을 인식해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인지센서 기술이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환경인식 센서로는 레이더, 라이다, 카메라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중 레이더 센서는 다른 센서에 비해 비교적 외부환경 조건에 강인하고, 높은 탐지 속도 해상도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현재 적응형 순항제어, 정방충돌경보, 사각지대 탐지, 차선변경 보조 시스템 등에 핵심 센서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더 센서는 향후 객체인식, 영상레이더 등 보다 스마트한 센서로 발전함으로써, 자율주행 자동차의 핵심 기술로 꾸준히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본 튜토리얼에서는 ‘레이더의 원리 및 신호처리 기술’와 ‘차량용 레이더 타겟 탐지/추적/인식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단위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높은 성능 향상을 위한 ‘센서융합 기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코자 합니다.
 Tutorial 2
(딥러닝과 얼굴인식)

황원준 교수
(아주대학교)
 
김준모 교수
(KAIST)
제목: 얼굴 인식 기술과 딥러닝 기술의 제품 적용과 과제
요약: 컴퓨터 비젼 기술 중 얼굴 인식 기술은 스마트폰, 무인자동차, 로봇과 같은 제품의 지능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 최근 딥러닝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식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고 이를 통해서 실제 CE 제품에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본 튜토리얼에서는 얼굴 인식 핵심 기술의 발전 동향 및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딥러닝 기술로 해결된 문제와 해결해야할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딥러닝 기술 이전의 Hand-crafted Feature로 상용화된 얼굴 인식 기술과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 기술로 상용화된 기술을 살펴보고 이들의 실제 적용 예를 통해서 다양한 인식 관련 기술 발전 동향과 제품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Tutorial 3
(3GPP CLI 성능 결과와 해결 방법 고찰)

 왕한호 교수
(상명대학교)
제목: 5세대 이동통신 Duplex와 간섭 제어 기술
요약: 2017년 6월이면 5세대 이동통신의 표준인 3GPP NR Phase-I에 대한 Study Item 단계의 논의가 종료되고 본격적인 표준화 작업이 시작된다. 3GPP NR에서 채택하고 있는 프레임 구조에서는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하던 것과는 달리 TDD와 FDD가 명확하게 구분지 않고 있다. 또한 Dynamic TDD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어 기존에 고려하지 못했던 Cross Link Interference 문제가 새로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튜토리얼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 요소 기술과 운용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특히 5세대 이동통신의 Duplex 방식으로부터 야기되는 Interference 문제와 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Tutorial 4
(모바일 IoT 기기에 적용되는 최신 기술)

 성운탁 PE
(삼성전자)
제목: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 기술 및 현황
요약: 휴대폰에서 지문인식/홍채인식 기능의 저변 확대로 휴대폰 보안 기능으로서의 생체 인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강연에서는 최근 들어 더욱 각광받고 있는 홍채 인식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휴대폰에서의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최우영 PE
(삼성전자)
 
제목: IoT향 SoC
요약: IoT(Internet of Things)에서 사용되는 SoC는 크게 things급, hub급, 그리고 server급으로 나눌 수 있다.
things급의 경우 computing power보다는 connectivity (WiFi / BLE / ZigBee / Thread) 또는 cellular IP (NB1 / M1), Security IP, Low power, Low cost등이 핵심 HW 기술이며, SW 경쟁력은 안정적인 개방형 SW platform, memory 사용량 최소화, SW개발 용이성, 저비용 SW개발 infra 등이 주요 경쟁력이다.
Hub급의 경우는 things급 보다는 high computing power가 요구되며 다양한 connectivity 또는 cellular IP가 동시에 필요하기에 mobile용 ModAP로 대응가능하며, SW도 mobile에서 사용하는 Linux나 Android stack을 활용할 수 있다.
 Tutorial 5
(홀로그램 부품 기술/ 초근접통신 기술)
 
 황치선 그룹장
(ETRI)
제목: 디지털 홀로그래피용 공간광변조기(SLM) 기술
요약: 홀로그래피는 실제 사물과 같은 영상을 재현하는 것이 원리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궁극의 디스플레이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빛의 위상이나 진폭을 제어하는 장치(공간광변조기, Spatial Light Modulator)가 필요하다. 특히 좋은 화질을 가지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빛의 파장과 유사한 픽셀 피치로 빛의 위상이나 진폭을 변조하여야 하며, 홀로그램 영상의 크기가 공간광변조기의 크기에 의존되므로 충분히 넓은 면적의 공간광변조기가 구현되어야 한다.
한동안 공간광변조기는 LCoS나 DMD 소자를 응용하여 사용하는 정도에 그쳤으나, 최근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본격적인 공간광변조기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공간광변조기의 개발과 관련하여 최근의 연구동향 및 주요 이슈,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재승 전문위원
(ETRI)
제목: IEEE 802.15.3e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
요약: 현재 이동/무선통신 환경은 사람과 사람 간의 통신 서비스 형태뿐만 아니라 IoT (Internet of Things) 통신서비스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Wi-Fi, Bluetooth 중심의 근거리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더욱 통신영역이 좁아진 근접통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기기 간의 대용량 데이터 교환이 증가함에 따라 기가급의 속도를 제공하는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5 Working Group에서는 최근 기기들 간의 P2P 통신을 지원하는 802.15.3e 초고속 근접통신 표준 (HRCP, High-Rate Close Proximity Point-to-Point communication)을 개발하였으며, IEEE 802.15.3e의 주 목적은 10 cm 미만의 초근접 거리에서 두 단말이 가까이 접근하기만 하면 연결이 설정되는 접근 방식의 빠른 연결 설정 및 60 GHz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기가급의 초근접/초고속 직접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튜토리얼에서는 이러한 IEEE 802.15.3e 초고속 근접통신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PHY 및 MAC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Tutorial 6
(웨어러블과 IoT분야 국제표준화)

류호준 박사
(ETRI)
제목: 국제 표준화 활동 및 표준화 연계 사례연구
요약: 최근 들어 연구결과를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그런 연유로 지적재산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더불어 국제표준화도 새롭게 조명받기 시작하고 있다. 표준은 시장을 지배하는 가장 궁극적인 기준이며, 이것의 개발을 통하여 기술의 확산 및 공유가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지적재산권과는 달리 배타적이지 않으며, 독점적이지 않아서 특허와는 이율배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점차로 특허를 표준과 연계하여 표준특허화 함으로써 기술적 보편성을 유지하면서도 발명자의 노력을 보상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강의에서는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반도체 기술위원회인 TC47을 중심으로 국제 표준화 활동의 전반적인 내용과 표준과 특허의 연계 및 표준화 성공사례를 통하여 효과적인 표준화 전략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한태수 코디네이터
(국가기술표준원)
제목: 웨어러블 기기와 국제표준화 추진 동향
요약: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시장에 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웨어러블 시장의 일각에서는 침체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의 제품 동향과 문제점 그리고 표준화 필요성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주도로 설립된 IEC TC 124(Wearable Electronic Devices and Technologies)의 설립 과정과 국내의 웨어러블 국제표준 개발 현황 등을 소개한다.

김기범 책임
(TTA)
 
제목: IoT 기술 표준화 현황

ALL CONTENTS COPYRIGHT 2017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사업자등록번호:220-82-01685 (우)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신관 907호
(사)대한전자공학회 대표: 홍대식 / 전화: (02) 553-0255~7 FAX: (02) 552-6093 / E-mail: ieie@theieie.org